설 교 말 씀
HOME > 설교와칼럼 > 설 교 말 씀
- 성경에는 많은 짐승이 상징으로 등장합니다. 그 중에서 예수님을 상징하는 두 짐승이 있습니다. 양과 나귀입니다. 양은 예수님의 대속의 피 흘림의 상징이고, 나귀는 남의 짐 져주는 섬김의 상징입니다. 죄 된 세상은 남의 짐 지려 하지 않습니다. 그래서 개인, 집단 없이 힘들다 아우성입니다. 예수님께서 종려주일에 남의 짐 지기 위해 태어난 나귀를 세게 강조하신 이유입니다.
1. 바로/모세 (출1~40장)
- 출애굽기1:8~22절, 바로 왕은 죄 된 세상을 상징합니다. 남의 짐 덜어 주어야 할 왕이 오히려 남에게 짐을 더 무겁게 지웁니다. 자신들을 잘 살게 해 주었던 히브리 민족에게 막중한 노동과 태어나는 남자아이를 죽이기까지 힘들게 합니다. 결국 하나님의 징계와 심판으로 첫 것들, 장자들, 병사들이 모두 죽고 맙니다. 남에게 짐 지우는 세상의 죄 된 한계 때문입니다.
- 출애굽기2~40장, 모세는 구원 받은 교회와 하나님나라를 상징합니다. -출2:11~15걸, 그런 모세가 어느 날 남에게 짐 지우기 좋아하는 애굽의 구조에 도전합니다. 하지만 실패합니다. 바로 광야로 들어가 성령으로 남의 짐 지는 훈련에 들어갑니다. 40년 되자 하나님 찾아오십니다. 남의 짐 져주는 성령의 자격증을 획득한 것입니다. -성도는 성령으로 남의 죄 짐 기쁨으로 져 줄 수 있어야 합니다.
- 출애굽기5~14장, 모세가 죽음을 각오하고 바로 앞에 섭니다. 남에게 힘든 짐 지우는 것을 하나님이 얼마나 싫어하는지 깨우치기 위함입니다. 결국 열 재앙 끝에 바로가 백기를 듭니다. 그 결과로 이스라엘이 출애굽합니다. -갈5:22~23절, 하나님은 이 백성을 통해서 남의 죄 짐 성령으로 감당하는 사람들을 세상에 쏟아내십니다. -모세가 성령의 나귀가 되어 주었기 때문입니다.
2. 룻기의 다섯 사람 (룻1~4장)
- 룻기1~4장에는 서로 짐을 져 줘야 하는 다섯 사람이 등장합니다. 하지만 세 사람은 어떻게 해서든 남의 짐을 져주려 애쓰고, 두 사람은 회피합니다. -먼저 짐 회피하는 두 사람입니다. 1)1:14절, 큰 자부 오르바가 시어머니 모시기를 포기합니다. 2)4:1~6절, 기업무를 1순위의 책임자가 기업을 무를 수 없다 합니다. 그 후 두 사람은 하나님의 구속 역사에서 사라지고 언급되지 않습니다.
- 책임지는 세 사람입니다. 1)1:6~15절, 시 어미 나오미가 두 자부에게 나 따라 와서 고생하지 말고 가서 새 출발하라 말합니다. 짐 덜어 주려는 마음입니다. 2)1:16~18절, 룻이 시어머니에게 죽는 일 외에 결코 어머니를 떠나지 않겠다 말합니다. 어머니의 힘든 짐 끝까지 지려는 것입니다. 3)2~4장, 베들레헴의 유력자 보아스가 룻과 나오미의 무거운 짐 다 져줍니다. 마1:6절, 룻을 아내로 맞아 예수님의 족보를 이룹니다. 구속사에 빛나는 별들이 된 것입니다.
*- 짐 지지 않으려는 세상에 짐 지려는 사람이 있으면 세상은 밝아지고 구원의 역사가 출렁일 것입니다. 각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시대의 나귀가 되어 주님께 기쁨이 되시기 바랍니다.